Flutter 윈도우에 설치하기

0. Android Studio 설치

다운로드 사이트 : developer.android.com/studio

 

Download Android Studio and SDK tools  |  Android 스튜디오

developer.android.com

1. Flutter 사이트에서 최신 SDK 다운받기

flutter-ko.dev/docs/development/tools/sdk/archive

 

Flutter SDK releases

All current Flutter SDK releases, both stable and developer.

flutter-ko.dev

2. 다운받은 파일을 원하는 곳에 압축해제(예: C:\src\flutter)

 

3. 압축푼 디렉토리의 경로를 환경변수 PATH에 추가

 

4. Flutter 환경 체크한 뒤 [!]가 있는지 체크(!가 있으면 해결해야함)

flutter doctor -v

 

5. Dart와 Flutter 설치

 

6. New Flutter Project... 실행

Flutter SDK path 설정:Flutter SDK 압축 푼 위치 설정
Project Name 입력 후 Finish

 

안드로이드 Bottom Navigation 만들기

 참조 : developer.android.com/guide/navigation/navigation-getting-started

 

탐색 구성요소 시작하기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이 주제는 탐색 구성요소를 설정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탐색 구성요소의 대략적인 개요는 탐색 개요를 참고하세요. 환경 설정 참고: 탐색 구성요소는 Android 스튜디오 3.3 이상이 필요

developer.android.com

1. 네비게이션 관련 Gradle 추가

 

- build.gradle에 추가

1
2
3
4
5
6
dependencies {    
    // 네비게이션 프래그먼트 추가
    def nav_version = "2.3.3"
    implementation "androidx.navigation:navigation-fragment-ktx:$nav_version"
    implementation "androidx.navigation:navigation-ui-ktx:$nav_version"
}
cs

 

- Safe Args 를 위해 build.gradle에 추가

1
2
3
4
dependencies {
    def nav_version = "2.3.4"
    classpath "androidx.navigation:navigation-safe-args-gradle-plugin:$nav_version"
}
cs
1
id 'androidx.navigation.safeargs.kotlin'
cs

 

- view binding 추가

1
2
3
viewBinding {
    enabled = true
}
cs

 

 

 

2. Bottom Navigation 에 들어갈 menu 추가

 

- 메뉴파일 추가하기

res > 마우스 우측버튼 클릭 > New > Adnroid Resource File
Resource type:Menu / File Name 입력 > OK 버튼 클릭

- bottom_nav_menu.xml 에 item 추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xml version="1.0" encoding="utf-8"?>
<menu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item
        android:id="@+id/restaurantFragment"
        android:title="식당"
        />
    <item
        android:id="@+id/shuttleBusFragment"
        android:title="셔틀"
        />
    <item
        android:id="@+id/dustFragment"
        android:title="미세먼지"
        />
</menu>
cs

 

- item의 title대신 이미지 넣기

res > 마우스 우측버튼 클릭 > New > Vector Asset 
Clip Art 의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아이콘 선택 / 이름 입력

- 선택한 아이콘을 item에 추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xml version="1.0" encoding="utf-8"?>
<menu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item
        android:id="@+id/restaurantFragment"
        android:title="식당"
        android:icon="@drawable/ic_baseline_restaurant_24"
        />
    <item
        android:id="@+id/shuttleBusFragment"
        android:title="셔틀"
        android:icon="@drawable/ic_baseline_directions_bus_24"
        />
    <item
        android:id="@+id/dustFragment"
        android:title="미세먼지"
        android:icon="@drawable/ic_baseline_filter_drama_24"
        />
</menu>
cs

 

 

3. Fragment 생성

  1) Fragment Layout 생성

 

layout 마우스 우측버튼 클릭 > Layout Resource File
fragment 생성

  2) Layout 위젯 만들기

- tools:context는 context로 연결할 class를 설정

<?xml version="1.0" encoding="utf-8"?>
<LinearLayou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xmlns:tools="http://schemas.android.com/tools"
    android:orientation="vertical"
    android:gravity="center"
    tools:context="com.example.navigationtutorial02.fragment.Restaurant">

    <TextView
        android:layout_width="wrap_content"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android:id="@+id/restaurant_title"
        android:textSize="40dp"
        android:text="식단"
        />
</LinearLayout>​

 

 

  3) Fragment 클래스 생성

- Fragment Package 추가

com.example.navigation_tutorial 마우스 우측버튼 클릭 > New > Package 선택

- fragment 패키지 생성

fragment 입력

- fragment class 생성

fragment package > New > Kotlin File/Class 클릭

- Fragment로 사용할 Class 생성(Restaurant / Shuttle / Dust)

Class 선택 > 생성할 클래스명 입력

 

- view binding 이용하여 class에 fragment 연결하기

class Restaurant : Fragment() {
    private var mBinding : FragmentRestaurantBinding? = null
    override fun onCreateView(inflater: LayoutInflater, container: ViewGroup?, savedInstanceState: Bundle?): View? {
        var binding = FragmentRestaurantBinding.inflate(inflater, container, false)
        mBinding = binding
        return mBinding?.root
    }

    override fun onDestroyView() {
        mBinding = null
        super.onDestroyView()
    }
}

- item으로 등록한 fragment들도 같은 방식으로 생성

 

 

 

4. Navigation Graph 생성

res > 마우스 우측버튼 클릭 > New > Adnroid Resource File
file name(nav_graph.xml) 적고, navgation 선택 후 OK
graph를 만들기 위해 fragment 추가

 

- app:startDestination 에 처음 시작시 나타날 fragment 입력, android:name에 각 fragment에 맞는 class입력

<?xml version="1.0" encoding="utf-8"?>
<navigation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xmlns:app="http://schemas.android.com/apk/res-auto"
    xmlns:tools="http://schemas.android.com/tools"
    android:id="@+id/nav_graph"
    app:startDestination="@id/restaurantFragment">

    <fragment
        android:id="@+id/shuttleFragment"
        android:name="com.example.navigationtutorial02.fragment.ShuttleFragment"
        android:label="fragment_shuttle"
        tools:layout="@layout/fragment_shuttle" />
    <fragment
        android:id="@+id/restaurantFragment"
        android:name="com.example.navigationtutorial02.fragment.RestaurantFragment"
        android:label="fragment_restaurant"
        tools:layout="@layout/fragment_restaurant" />
    <fragment
        android:id="@+id/dustFragment"
        android:name="com.example.navigationtutorial02.fragment.DustFragment"
        android:label="fragment_dust"
        tools:layout="@layout/fragment_dust" />
</navigation>

 

5. activity_main.xml 에 BottomNavigationView / FragmentContainerView 추가

- FragmentContainerView - android:name 에 androidx.navigation.fragment.NavHostFragment 입력

- BottomNavigationView - app:menu 에 navigation 메뉴로 생성했던 nav_menu를 입력

<?xml version="1.0" encoding="utf-8"?>
<LinearLayou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xmlns:app="http://schemas.android.com/apk/res-auto"
    xmlns:tools="http://schemas.android.com/tools"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tools:context=".MainActivity"
    android:orientation="vertical"
    android:weightSum="1"
    >

    <androidx.fragment.app.FragmentContainerView
        android:id="@+id/main_nav_host"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0dp"
        android:layout_weight="1"
        android:name="androidx.navigation.fragment.NavHostFragment"
        app:defaultNavHost="true"
        app:navGraph="@navigation/nav_graph"
        />
    <com.google.android.material.bottomnavigation.BottomNavigationView
        android:id="@+id/bottomNav"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app:menu="@menu/nav_menu"
        />


</LinearLayout>

 

- MainActivity 에 navigation fragment와 controller를 연결 

class Ma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

    private lateinit var mBinding : ActivityMainBinding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 메인view에 infalte 바인딩
        mBinding = ActivityMainBinding.inflate(layoutInflater)
        setContentView(mBinding.root)

        // Navigation Fragment 생성
        var navigationFragment = supportFragmentManager.findFragmentById(R.id.main_nav_host) as NavHostFragment
        // Navigation Controller 생성
        var navController = navigationFragment.navController
        
        // Bottom Navigation 메뉴, Navigation Controller 추가
        NavigationUI.setupWithNavController(mBinding.bottomNav, navController)
    }
}

 

==> 컴파일 및 실행

 

github주소 : github.com/powergi-1/navigation_tutorial

Android Studio 에서 git 사용하기

- git 저장소 위치 선택

 

VCS -> Import into Version Control -> Create Git Repository...

 

 

- 프로젝트를 선택한뒤 git에 올릴 파일을 추가한다.

 

프로젝트 선택 > 마우스 우측버튼 클릭 > Git > Add

 

 

- commit

 

VCS > Git > Commit Directory...
comment를 달고 commit 클릭

 

 

 

- remote git 에 올리기

 

VCS > Git > Push...

 

 

- 등록 확인

 

github 프로젝트 

 

안드로이드에 github 연동

- Android Studio에 github 정보 저장

(File > Settings > Version Control > GitHub > Add count > github 계정입력)

 

 

 

- 오류가 발생하면 "use token"으로 등록

 

 

 

- github에 로그인하여 설정으로 이동(로그인 > Settings)

 

 

 

- Developer settings 선택

 

 

 

- Personal access tokens > Generate new token 선택

 

 

 

- repo, admin:org, gist 선택 후 Generate token 클릭

 

 

 

- 생성된 토큰을 Android Studio 의 토큰 입력하는곳에 입력하여 github 등록

 

 

 

- 등록 확인

 

 

 

- remote git등록

 

VCS > Git > Remotes...

 

 

- remote git 저장소 정보 입력

VCS > Git > Remotes... > Name / URL 입력 > OK 클릭

 

- 등록된 저장소 확인

 

VCS > Git > Remotes...

 

ActionBar 보이기 / 가리기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안드로이드 Intent 애니메이션 이동

- res 폴더에 새로운 폴더(anim) 생성

slide_in_left.xml / slide_out_right.xml / slide_in_right.xml / slide_out_left.xml

( * X를 Y로 바꿔주면 위아래로 슬라이드가 적용된다. )

1
2
3
4
5
6
<?xml version="1.0" encoding="utf-8"?>
<translate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android:duration="250"
    android:fromXDelta="100%"
    android:interpolator="@android:anim/decelerate_interpolator"
    android:toXDelta="0%" />
cs
slide_in_left.xml
1
2
3
4
5
6
<?xml version="1.0" encoding="utf-8"?>
<translate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android:duration="250"
    android:fromXDelta="-100%"
    android:interpolator="@android:anim/decelerate_interpolator"
    android:toXDelta="0%" />
cs
slide_in_right.xml
1
2
3
4
5
6
<?xml version="1.0" encoding="utf-8"?>
<translate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android:duration="250"
    android:fromXDelta="0%"
    android:interpolator="@android:anim/decelerate_interpolator"
    android:toXDelta="-100%" />
cs
slide_out_left.xml
1
2
3
4
5
6
<?xml version="1.0" encoding="utf-8"?>
<translate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android:duration="250"
    android:fromXDelta="0%"
    android:interpolator="@android:anim/decelerate_interpolator"
    android:toXDelta="100%" />
cs
slide_out_right.xml

 

- Main Activity에서 slide 사용

overridePendingTransition( 새로 들어올 Activity, 기존 Activity)

1
2
3
4
5
val messageIntent = Intent(this, MessageActivity::class.java)
startActivity(messageIntent)
overridePendingTransition(R.anim.slide_in_left, R.anim.slide_out_right)
finish()
 
cs

- Sub Activity 에서 Slide 사용

1
2
3
4
backBtn.setOnClickListener {
            finish()
            overridePendingTransition(R.anim.slide_in_right, R.anim.slide_out_right)
}
cs

 

[펌] Vimdiff 간단 사용법

Ctrl + w + w -> 분할된 화면 이동

Ctrl + w + = -> 분할된 화면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조정

] + c -> 차이점이 있는 부분으로 이동 (Down)

[ + c -> 차이점이 있는 부분으로 이동 (Up)

d + o -> 현재 커서가 위치한 창 쪽으로 반대 창 쪽의 내용을 적용 시키기

d + p -> 현재 커서가 위치한 창 쪽의 내용을 반대 창 쪽으로 적용 시키기

z + o (or space) -> 접혀 있는 부분 열기

z + c -> 차이점 없는 부분 접기

:diffupdate -> 문서 간의 차이점을 다시 비교하도록 하는 명령 (한 쪽 창의 내용을 edit하다 보면 문서 간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색깔이 없어지기도 함)

[출처] vimdiff 명령어|작성자 똥꾸용

(펌)KSH자동완성기능


Shell auto completion

Shell                          csh        ksh       bash
Single option completion       Esc-Esc    Esc-Esc   Tab
Unresolved reference menu      Ctrl-D     Esc =     Tab-Tab

설명 하자면
.profile 에

set -o vi

를 넣어주고

ksh:/tmp/>>ls
bin/      bin5/     include/  lib/      share/
bin2/     ftp/      info/     man/      src/
ksh:/tmp/>>

#man directory로 들어간다고 한다면

ksh:/tmp/>>cd m	#까지 치고 Esc + \ 치면

ksh:/tmp/>>cd man/	#자동 완성 됩니다

#이제 bin5로 드어가볼까요^^
ksh:/tmp/>>cd bi       #여기까지 치고 Esc + =
1) bin/
2) bin2/
3) bin5/
ksh:/tmp/>>cd bi	#여기서 \ 누르면
ksh:/tmp/>>cd bin	#이렇게 되구
ksh:/tmp/>>cd bin5	#마지막 단어를 쳐주면 됩니다.

ksh:/tmp//bin2>>

http://lists.q-linux.com/pipermail/ph-linux-newbie/2003-March/013657.htm...

추가로 BASH에서 위방향 버튼, 아래방향 버튼과 같은 역활을 하는 명령어는

Esc 를 누르면 vi 모드로 들어가고
k,j 를 이용하여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펌] RS-485란?



RS-485
노이즈에 강해 원격 자동화에 많이 사용되는 RS-485 통신의 기본 원리와 회로도, 프로토콜 제작에 대해 알아본다.

RS-232는 그라운드와 데이터 신호의 전압 차이로 상대 기기에 전달된다. 그래서 통신 선로가 길수록 전압 저하로 노이즈에 약하고 고속이나 장거리에는 부적합 한 것이 단점이다. 반면 RS-422(EIA-422)는 고속 및 장거리 노이즈에 상대적으로 강한 통신 방법이다. 232가 불평형 통신 선에 의한 인터페이스라면 485는 평행형 통신 선이며, 쌍방 접속으로 최대 10Mbps로 수 Km까지 전송이 가능하다. 485는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422와 전기적으로 다른 것 이외에는 유사하다.












































































항목 RS-232 RS-423 RS-422 RS-485
모드 타입 불평형 불평형 평형 평형
최대수 Driver(송신) 1 1 1 32
Receive(수신) 1 10 10 32
최대 케이블 길이(m) 15 1200 1200 1200
최대 Bps 20K 100K 10M 10M
Transmit Level Max ±15V ±6V 경우에 따라 다름 -
Min ±5V ±3.6V ±2V ±1.5V
수신감도 ±3V ±0.2V ±0.2V ±0.2V
Load Impedance(Ω) 3K∼7K 450이하 100이하 60이하
Output Current Limit 500mA∼(Vcc 또는 GND) 150mA∼GND 150mA∼GND 150mA∼GND
Driver ZOUT 최소값(Power Off) 300Ω 60kΩ 60kΩ 60kΩ






그림 1은 RS-485 IC의 내부 구조 및 연결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LTC485와 MAX465는 Pin-to-Pin으로써 전기적 차이는 약간 있으나 기능 핀 구성이 같다. 언급된 제품 이외에 상당수 더 있지만 필자는 LTC485를 통해 실험했다. 그림1의 왼쪽은 IC 핀 구성과 내부 구조를 나타내며, 오른쪽은 IC를 이용해서 원거리를 케이블로 연결했을 경우를 매뉴얼에서 언급한 대로 나타냈다. 선로 상의 A, B 사이에 있는 RI는 종단 저항을 나타내며, 선로 임피던스마다 다르지만 보통 50~150Ω을 병렬로 연결해서 사용한다. 수신 쪽에서 정보를 보냈을 경우 반대편에 부딪혀서 메아리처럼 되돌아오는 신호를 소멸시키기 위해서이다. 빨래 줄처럼 한 개의 신호 선에 여러 대의 장비가 서로 통신할 경우에는, 장비마다 종단 저항을 전부 연결하는 것이 아니고 보내는 장비와 가장 멀리 위치한 받는 장비 한 대씩 두대만 종단 저항을 연결한다. 그래서 485 통신 보드에는 보통 100Ω의 종단 저항에 점프 핀으로 선택적인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해서, 선로 상의 마지막에 해당하는 보드에 종단 저항 설치가 가능하게끔 구성한다.
통신 선로 상에 직렬로 되어 있는 R14~R17의 1Ω 저항값은 선로로 과 전압이 들어오면 내부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저항이다(신뢰성 없음). 선로 상에 이상 전압이 예상되거나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Isolation)하기 위해서는 포토 커플러를 485 드라이브 IC와 TTL 로직 IC 사이에 놓고 설계하기도 한다(그림 2 참조).


그림 2. RS-485와 RS-232 통신 설계












SYN SYN SOH Header STX Text ETX BCC







SYN : Synchronous Idle
SOH : Start Of Heading
STX : Start Of Text
ETX : End Of Text
BCC : Block Check Character
그림 3. 동기식 메시지 형식





2개 이상의 스테이션 사이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순서 규약이 프로토콜이며, 이에 의해 통신이 제어된다. 통신 규약의 목적은 기기 사이의 연결을 시작하거나 끝내고 송?수신부를 지정하며, 오류 확인, 데이터 전송에 관련된 모든 제어 기능을 관리하는 데 있다. 232에서도 약간 언급했지만 데이터 전송에는 동기식과 비동기식이 있다.
동기식 방법에는 문자 지향적 프로토콜(Character-Oriented Protocol)과 비트 지향적 프로토콜(Bit-Oriented Protocol) 이 있다. 대부분의 통신 코드는 문자 지향적 방법의 변형을 이용하여 비동기식으로 통신하는 알고리즘이다.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통신 제어 문자를 표 2에 나타냈는데, 이들 문자를 약속된 절차에 따라 서로 주고받으면서 통신하는것이다. 문자 지향적 형식은 헤더(Header) 영역과 텍스트(Text) 영역, 그리고 오류 검사(Error Check) 영역으로 나뉘며 이를 메시지(Message)라 한다.
그림 3은 동기식 문자 지향적 프로토콜의 전형적인 메시지 형식을 나타낸다. SYN은 상호 약속에 의해 송신부와 수신부의 동기를 돕는 것으로 0110100의 특수 문자를 사용하는데,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같은 비트 지향적 프로토콜에는 플래그 0111 1110을 사용한다. 필자가 구현한 통신 프로토콜은 시리얼 통신모드1을 사용한 비동기식이고, 메시지 형식은 문자 지향적인 방법을 이용했다. 특히 동기 맞추는 부분은 제외한 자작 프로토콜을 이용했다.
표 2는 서로 떨어져 있는 보드 사이를 통신하기 위해 미리 정의한(현재 통용되고 있음) 문자 기호를 나타내며 16진 Hex값이 이에 해당한다. 여기서부터는 이런 기호를 이용해서 장비와 장비간에 서로 통신하는 방법과 프로토콜을 정의하고자 한다. 궁극적인 목적은 넓은 범위에서 사각지대 없이 여러 대의 기기가 원활하게 서로 통신하며 정보를 주고받는 것이다. 데이터 수수를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신뢰성에 기반을 둔 통신이다. Mast, Slave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이제부터는 대장/부하 개념으로 설명하겠다.
대장보드와 부하보드 상호간에는 비동기 통신, Polling, Selecting, Response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통신 속도는 변경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19,200Bps에 고정되어 있다. 데이터 길이는 8비트, Stop 비트는 1, 패리티 비트는 없으며(8N1) 16진(Hex)과 ASCII 코드 또는 BCD 코드를 사용한다.
각 기기에는 고유의 UAD(Unit Address)가 Dip S/W에 의해 설정돼 있다. 그래서 사람 이름을 부르는 것과 같이 상대방의 UAD를 이용하여 통신하게 된다. 통신은 정해진 전문 형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통신할 데이터가 없더라도 일정한 시간이 되면 대장보드가 부하보드의 어드레스를 불러 주는데 이를 정기적 Polling라 한다(이하 POL). POL은 회선이 끊어졌는지 확인하며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체크하는 데도 이용된다. Selecting은(이하 SEL) 대장보드가 부하보드를 UAD로 불러 데이터를 송신할 때 이용되며, Response(이하 RSP)는 POL에서 해당 UAD가 응답할 내용을 대장보드에게 보낼 때 사용된다.




































































기호 Hex 의미 기능
STX 02 Start Of Text 블록의 시작
ETX 03 End Of Text 블록의 끝
EOT 04 End Of Transmission 전송의 끝
INQ 05 Inquiry 명령 실행응답 문의
ACK 06 Acknowledge 인식했음을 알림
DLE 10 Data Link Escape 전송 제어용 확장 코드
NACK 15 Negative Acknowledge 잘못 인식했음을 알림
ETB 17 End Of Transmission Black 전송 블록의 끝
POL 70 Polling 대장보드가 보냄
SEL 73 Selecting 부하보드 지정 정보 전달
UAD 0~F Unit Address 기기 번호
BCC 0~FF Exclusive OR Sum 블록 검사


















HDLC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는 정보 전송을 위해 국제 표준위원회 ISO에서 개발한 비트 중심의 데이터 통신 프로 토콜이다. HDLC는 OSI 모형을 사용하는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 의 데이터 통신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에 대한 비트 단위의 동기 전송 방식을 정의하고 있다. 즉 데이터 프레이밍, 흐름 제어, 에 러 검출 정정 용도로 쓰이는 비트 기반 데이터 링크 계층의 동기 식 프로토콜인 것이다. HDLC에서의 순서와 정보는 Flag(8bit), Address(8bit), 제어(8bit), 데이터 정보(임의), 프레임 오류 점 검용(16bit), Flag(8bit)과 같은 프레임 형식으로 데이터가 저장 된다. HDLC는 IBM의 SDLC를 기반으로 개발됐고 ISO에 의해 표준화되었다. 표준 프로토콜 서브셋으로 구현된 HDLC의 예를 보면, 이더넷에 사용되는 802.2와 X.25에 사용되는 LAP 등이 대표적이다.
 
 
출처 : 네이버






통신 전문 형식의 예를 도식화하면 그림 4와 같다. 주기적으로 POL이 행해져서 부하보드가 송출할 정보가 없고 그냥 대답만 할 경우에는 CK(Acknowledge)만 보낸다. 보낼 전문이 있으면 RSP로 구성된 데이터 블록을 대장보드에게 보내면 된다.
한편 대장보드가 부하보드에게 정보를 보내고자 할 경우에는 부하보드의 UAD를 SEL 전문에 넣고 정보를 보낸다. 사실 POL과 SEL은 1:n의 일대 다 통신일 경우 대장보드를 포함해 RS-485 선로에 있는 부하보드 전부가 정보를 받고 해석한다. 그 후 자신의 UAD를 받았다면 해당 기기는 내부적으로 명령을 처리하고 응답한다. 응답 정보를 보낼 경우에는 RSP를 보내거나, 아니면 ACK 또는 NAK(Negative Acknowledge)를 보내면 된다. 홈 가드 보드의 통신에서 잘 받았거나 긍정 응답일 경우는 ACK, 정상적으로 통신이 수행되지 않았거나 부정 응답은 NAK를 보내어 확실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쉽게 말하자면 여러 사람들이 모여 서로 대화하는 것과 유사하다. 세 사람이 대화할 경우를 생각해보자. 서로 동시에 말하지 않기 위해 한 사람이 누군가와 대화하고 있다면 나머지 한 사람은 잠시 기다려 준다. 즉 자신의 이름이 아니면 응답하지 않고 불려진 상대의 대화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하지만 기다리는 사람이 심심하지 않도록 가끔 이름을 불러 주는 에티켓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쌍방 간의 약속이 바로 프로토콜인 셈이다. 이는 기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모방하여 만든 것이다.
좀더 높은 신뢰성과 암호화 기법이 필요한 독자는 스스로 개발하던지 또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방법을 사용하기 바란다.
그림 4를 통해 다시 한 번 프로토콜을 설명해보겠다. 통신할 때는 3가지 모드가 있는데 POL, SEL, RSP가 그것이다. POL은 다시 정기적인 POL과 필요에 의해 사용하는 비정기적인 POL로 나눈다. 대장보드에서 부하보드에게 통신이 정상적으로 되는지, 선로에는 이상이 없는지, 그리고 부하보드가 응답할 것이 있는지 등을 POL한다. POL을 받은 부하보드는 보낼 정보가 있으면 RSP로 응답하고, 정보가 없다면 ACK를 보내 통신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음을 대장보드에게 통보한다.


















RS-485 통신의 Echo, Non Echo 모드



멀티 포인트 버스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하나의 버스에 여러 개의 마스터가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나의 마스터가 다른 마스터와 통신할 경우 반드시 출력 개폐를 해야 한다. 이것은 RS-422의 멀티 드롭 모드와 동일한 개념이다. 하지만 동시에 여러 개의 마스터가 출력하여 데이터가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하 므로 이러한 문제는 S/W에 의해 해결되어야 한다. 그러한 방법 중 하나가 자기가 보낸 정보를 자기가 받아보면 서 충돌 여부를 확인하는 것인데 이를 RS-485 Echo 모드라 부 른다. 예를 들자면 어떤 마스터가 멀티 포인트 버스에‘ABC’라 는 데이터를 보내면 이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되돌아온다 (Echo). 이를 읽어와서‘ABC’여부를 확인한 후 동일한 정보가 아니거나 들어온 데이터 수가 틀리면 충돌한 것으로 보고 적절 한 시간 지연을 거친다. 그리고 다시 출력시켜 정확한 값이 되돌 아 올 때까지 되풀이하면 된다. 이 때 마스터의 RxD 신호선은 항상 멀티 포인트 버스에 접속돼 있어 자신의 데이터뿐만 아니 라 다른 마스터가 보내는 데이터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인지 판단하는 것은 S/W에 의해 결정 된다. 즉 RS-485 Echo 모드에서 마스터의 RxD 신호선은 항상 멀티 포인트 버스에 접속돼 있어야 하는 반면, TxD 신호선은 데 이터를 출력할 때만 접속시켜야 하고 나머지는 반드시 단락시켜 야 한다. 만약 단락시키지 않으면 RS-422의 멀티 드롭 모드와 같이, 다른 마스터가 데이터를 보내도 충돌이 발생하여 올바른 송?수신이 되지 않는다. RS-485 Non Echo 모드는 RS-485 Echo 모드에서 자기가 보낸 데이터가 자기 자신에게 되돌아오는 기능을 없앤 것이다. 이는 TxD 신호선을 멀티 포인트 버스에 접속시키면 그 즉시 RxD 신호선이 멀티 포인트 버스에서 단락된다. 또 TxD 신호선 을 멀티 포인트 버스에서 단락시키면 바로 RxD 신호선이 멀티 포인트 버스에 접속하게 된다.
 
 
출처 : 시스템베이스





한편 대장보드가 특정 부하보드에게 직접 정보를 전달하는 SEL이 있다. SEL을 받고 부하보드가 정상적으로 명령을 처리하면 ACK를 보내고 송수신 에러가 발생하면 NACK를 보낸다. ACK는 보통 정보를 잘 받았을 경우에 사용하고 NACK는 SUM 체크나 수신 오류를 범했을 경우 사용한다.
도식화된 그림 5를 보면 3개 모드 중에서 맨 왼쪽은 정기적인 POL이다. PC에 연결되어 있는 대장보드가 부하보드에게 정기적으로 주소와 함께 정보를 보낸다. 이 때 RS-485 통신선에 연결된 기기들은 일단 분석한 후 자신의 어드레스와 받는 UAD가 동일한지 판단한다. 동일하다면 보낼 데이터 없이 대답만 할 경우 ACK를 보내고, 그림 5의 두 번째 상황처럼 응답 데이터가 있을 때는 RSP를 보내 통신한다. 전문 형식을 정상적으로 받으면 ACK를 보낸다. 반면 한번 더 송신을 요청하거나 취소할 때 또는 잘못 받았을 경우에는 NACK를 보내어 재 송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식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정기적인 POL이나 정보를 보냈는데 일정 시간 동안 ACK 또는 NACK 응답이 없으면, 몇 번 더 재 송신한 후에 회선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한다.
통신 프로토콜을 제작하는 것은 생각보다 상당히 복잡하고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 검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LoopBack Test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면서 프로토콜을 이해하도록 하자. Loop Back Test는 통신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간단하게 이용하는 방법으로, 송신한 것을 자신이 수신하여 정확히 동작하고 있는지 파악할 때 사용한다. Loop Back Test Tool은 그림 6과 같이 제작한다. 그림 6에서 M은 Male(수컷), F는 Female(암컷)이고 10Ω은 의미 없는 보호 저항이다. 여기서 RX_H와 TX_H를 극성에 맞지 않게 잘못 연결하면 485 드라이버 칩이 내부적으로 파괴된다는 점을 기억하자.
Loop Back Test Tool의 R1과 R2에 오실로스코프 프로브와 GND 단자를 놓고 파형을 측정하면 그림 7의 하드카피 RS-485 파형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DB 9핀 소켓의 1번에 스코프의 측정 단자 프로브를, 6번에는 스코프의 그라운드를 연결해야 한다. 처음 통신이 없을 때는 Stop을 유지하고 있다가 통신이 시작되면 Start(Low), 그리고 대문자‘Z’의 ASCII Code인 0x5A(0101 1010) LSB부터 전송되어 MSB를 마친 후 Stop(High) 비트, 그리고 다시 한 번 Stop(문헌에서는 State라 한다) 비트를 유지한다. 프로그램에서 통신모드1, 데이터 8비트, 패리티 없고 Stop 비트 1(8N1)로 설정해 놓았기 때문이다.
통신속도는 한 비트의 시간이 52㎲이기 때문에 역수를 취하면 19230.76≒19200Bps로 데이터가 송신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보면 기계는 정말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필자는 엔지니어로서, 인간의 명령에 따라 충실히 동작하는 기계를 올바르게 사용해야겠다는 의무감을 느끼기도 한다.
Source는 RS-485 통신의 기본 구조와 Loop Back Test 프로그램으로, 숫자‘2’를 누르면 영어 대문자‘Z’를 TXH 및 TXL로 485 통신 선로에 보내고 RXH 및 RXL로 다시 받는 내용이다. 통신 결과는 RS-232를 통해 하이퍼터미널에 프린트했다. 그러나 보통의 MPU는 UART 포트가 하나밖에 없어 232 통신과 485 통신을 프로그램에 의해서 이쪽 저쪽으로 스위칭 해야 한다. 그러므로 데이터를 잃어버리면 안 되는 통신 시스템을 요구하는 구조의 포트 전환은 굉장한 기술을 요하거나 아니면 적합하지 않다고 본다.










Source. 타깃 보드 커뮤니케이션 테스트 프로그램
/*
목적 : Target Board Communication Test
File name: com_test.c
Copyright Conan Kim All Rights Reserved.
*/
#include
#include // 중간생략
#include "C:₩hardware₩work₩gu_5002.h" // DS5002FP SFR 정의
#include "C:₩hardware₩work₩gu_type.h" // #include 정의
#include "C:₩hardware₩work₩gu_hard.h" // Memory Map
#define uchar unsigned char
#define uint unsigned int
/*******************/
/* function prototype */
/*******************/
// Interrupt initial
void init_serial(void); // 19200Bps setting
// Communication
void init_qbuffer(void); // Ring Buffer 초기화
bit check_pop(void); // RS-232로부터 입력 검사
// Utility
void title_print(void);
uchar xtoa_h(uchar _byteh); // Hex to ASCII Converter 상위 Nibble
uchar xtoa_l(uchar _bytel); // Hex to ASCII Converter 하위 Nibble
void putstring(char* star); // 문자열 RS-232 프린터
void putbyte(char c); // 문자(文字) 하나 출력
/*******************/
/* Variables Declarations */
/*******************/
uchar xdata get_char; // Q 버퍼에서 읽어온 입력 값
struct ring xdata q; // For Communication q-buffer
/******************/
/* Main Function */
/******************/
void main(void){
uchar xdata i;
EA=0; // Disable Interrupt
init_serial(); // 19200Bps Setting
init_qbuffer(); // Ring Buffer Setup q.rp=q.wp=0
EA=1; // Enable Interrupt
wdt(); // Watchdog Timer
switch(485){ // 참이므로 무한 루프 형성
case(485): // Endless Loop
title_print(); // 화면 프린터
putstring("₩nCMD>"); // 다음 명령 대기상태 Prompt
while(7){ // True 무한 Loop, for(;;)와 동일
wdt(); // Watchdog Timer
if(check_pop() && get_char==0x0D) // CR(Enter) Check
putstring("₩nCMD>"); // 엔터키이면 Prompt
switch(get_char){
case('h'):case('H'):case('?'): // Help Display
putstring("485_Communication(1), 485_Loop_back_Test(2)₩nCMD>");
break; // 절대 빠트리지 말자........ 필자 무지 고생했음
case('1'):case('!'): // 1일 경우, 실제 통신 프로그램 위치
putstring("Now! 485_Communication ₩nCMD>");
break;
case('2'):case('@'): // 2일 경우
putstring("Now! 485_Loop_Back_Test₩nCMD>");
putstring("Send ASCII Code 'Z' to RS-485₩nCMD>");
putstring("Receive(5) Char 'Z' to RS-485₩nCMD>");
ON_485(); // 485 Port On
// GU_TYPE.H에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음
// #define ON_485() CON1=0;CON2=1
// #define OFF_485() CON1=1;CON2=1
// #define ON_MODEM() CON1=1;CON2=0
// #define OFF_MODEM() CON1=1;CON2=1
for(i=1;i<=5;i++){ // 5회 실행
wdt();
putbyte('Z'); // send 485 Port Z=0x5A=0101 1010
if(check_pop()){ // 485를 통해 수신 데이터 확인
OFF_485(); // 485 Port off, 수신 데이터 있음
putbyte(get_char); // 하이퍼터미널에 입력값 프린터
putstring("("); // 괄호
putbyte(xtoa_l(i)); // i 값을 ASCII로 변환
putstring(")₩nCMD>");
ON_485(); // 485 Port On
} // end if
}// end for(i∼
OFF_485(); // 485 Port Off, RS-232로 변환
putstring("("); // 괄호
putbyte(xtoa_l(i)); // ASCII로 변환
putstring(")₩nCMD>");
putstring("END RS-485 Communication ASCII Code 'Z' Send Test₩nCMD>");
putstring("If You Read Just Number '(6)' is Fail₩nCMD>");
break;
case('5'):case('%'): // this mode Output ASCII Code 'A'
putstring("Now! Modem Test₩nCMD>");
break;
default:break;
} // end switch(get_char)
} // end while(7)
break;
default: wdt(); break; // 필요하지 않음
} // end switch(485)
} // end main
// ========================================================
// ======================== Utility Routine ===============
// ========================================================
bit check_pop(void){
if(q.wp!=q.rp){
get_char=(q.buffer[q.rp]); // pop get char by check flag
q.rp++; // Increment Read Point
if(q.rp>QSIZE) q.rp=0; // 링 구조를 가지고 있음
return (1);
}
get_char=NULL; // 입력이 없으면 공(空), 여기서는 Zero
return (0);
}
void putbyte(uchar c){ // TI=1이 될 때까지 실행
SBUF = c; // 전송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 까지 대기
while(!TI); // 괄호가 참이면 계속 실행, 즉 TI=0이면 대기
TI=0; // (!TI)=0이 거짓이 되려면 TI=1
}
void putstring(char *str){ // Point 문자열 출력
unsigned int xdata i;
for(i=0;str[i]!='₩0';i++) {
if(str[i]=='₩n') {
putbyte(0x0a); // 0x0a = Line Feed(줄 바꿈)
putbyte(0x0d); // 0x0d = Carriage Return(커서를 좌측 끝)
}
else putbyte(str[i]);
}
}
uchar xtoa_h(uchar _byteh){ // 16진수를 ASCII로 변환 상위 Nibble
uchar nibble = _byteh >> 4;
return ((nibble > 9)? nibble + 'A' - 10 : nibble + '0');
}
uchar xtoa_l(uchar _bytel){ // 16진수를 ASCII로 변환 하위 Nibble
uchar nibble = _bytel & 0x0F;
return ((nibble > 9)? nibble + 'A' - 10 : nibble + '0');
}
void title_print(void){ // 사용자 타이틀 프린터
putstring("₩n******************************");
putstring("₩n* Target Board of Home Guard Communication Test *");
putstring("₩n******************************");
putstring("₩n₩n");
putstring("CMD>Push '?'or 'H' key then Commands display₩nCMD>");
}
// ========================================================
// ======================== Initial Routine ===============
// ========================================================
void init_qbuffer(void){ // 링 버퍼 초기화 루틴
q.rp=0; // Read Point value = 0
q.wp=0; // write Point value = 0
}
void init_serial(void){ // 19200
ES =1; // Enable Serial Interrupt
PS=1; // Serial Port Priority High
SCON = 0x50; // Mode=1, REN=1
PCON |= 0x80; // SMOD=1
TMOD |= 0x20; // Timer Mode=2, 8bit Auto_reload Timer
TH1 = 0xFC; // Time Value
TR1 = 1; // Run Timer 1
TI = 0; // Initial TI & RI
RI = 0; // SCON에서 이미 정의되어 있음
}
// ========================================================
// ======================== Interrupt ==================
// ========================================================
void timer0_isr(void) interrupt 1 using 1{ // auto reload 방식
timer.tick++;
if(timer.tick==0xFFFF) timer.tick=0;
}
void push_q(void) interrupt 4 using 1{ // UART 인터럽트
if(RI){ // RI=1일 때 실행
RI=0; // Empty RI(다음 인터럽트 받을 준비)
q.buffer[q.wp]=SBUF; // Write Point로 옮김
q.wp++; // Increment Write Point
if(q.wp>QSIZE) q.wp=0; // Write Point가 넘치지 않게(Ring Buffer)
} // End if(RI)
}
/*********************************/




Source를 컴파일 한 후 프로그램을 로딩, 윈도우의 하이퍼 터미널과 실험용 보드인 홈 가드 보드를 연결한다. 정상적으로 Loop Back Test가 되었다면 그림 8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만약 P2나 P3의 DB 9핀 소켓에 아무 것도 연결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Z(1)~Z(5)가 출력되지 않고‘(6)’만 화면에 나타난다.
바탕화면에 하드 카피된 TTY 프로그램은 PC 회사에서 COM 포트를 테스트하기 위해 이용하는 실행 파일로 Microsoft Corp.에서 만든 것이다. 윈도우에서 제공되는 하이퍼터미널을 사용해도 된다.
자체적으로 RS-485의 TX를 통해 보낸 정보를 RX로 받는 것까지 됐다면 다시 프로토콜로 돌아오자. 앞에서 프로토콜을 필자가 직접 만들었다고 했다. 그런데‘프로토콜’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니 외교상으로는 의전(儀典)이나 의례(儀禮)를 나타내며, 전산에서는 컴퓨터 상호간 또는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통신 규약으로 쓰여 있다. 결국 프로토콜은 일상 생활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많이 사용되는 전화망 통신의 예를 들어보자. 첫째, 음의 변조방식과 전화번호가 있다. 둘째,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가 응답이 가능한지 이름이나 교환 및 내선 번호를 통해 확인한다. 셋째, 상대방과 접속이 되어서도 언어와 Yes or No의 대답 등 일정한 도덕 규약이 있다. 이렇게 프로토콜은 통신 문화이며 정해진 예절이다.
자작한 통신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생각하지 않고 만든 점에 유의하도록 하자. 우선 데이터 투명도를 DLE(Data Link Escape)로 생각하지 않았다. 또한 선로 상에서의 통신 속도를 자동으로 맞추지 못하며, 통신 상에서 각종 대기 시간 및 정기적 POL 시간 등을 실험을 통해 정확히 고려하지 않았다.
나머지는 차지하고라도 데이터 투명도는 꼭 짚어보고 넘어가야 하겠다. 초기 데이터 통신에는 ASCII 문자만으로 통신을 하다가 점점 정보 의미가 확대됨에 따라 2진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게 됐다. 그러나 2진 정보는 문자 지향적 프로토콜에서 수신부에 의해 잘못 해석될 우려가 있다. 이를 막기 위한 작업을 투명(Transparent) 데이터라고 부른다.
데이터 투명도는 문자 지향적 프로토콜에서 각 통신 제어 문자 이전에 DLE(Data Link Escape)라는 문자를 삽입하므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텍스트를 보낼 때 DLE로 시작해서 DLE로 끝나는 것이다. 만약 DLE(0x10h=0001 0000)와 똑같은 2진 정보가 텍스트 안에 존재하고 있다면, DLE의 혼선을 막기 위해 다시 한번 DLE를 보내는데 수신 시에도 두 개를 받았다면 하나를 버린다. 그러나 이런 방법의 데이터 투명도는 프로그램 하기도 까다롭고 특히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텍스트 수를 세어 보내는 쪽에서 주고, 받는 쪽에서는 바이트 수를 세어 받는 방법도 있다. 보통 비트 지향적 프로토콜에서 많이 사용한다. 표 3은 홈 가드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정해진 명령어를 보여준다.
구현된 타깃 보드는 PC와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대장보드와 이곳에 연결되어 있는 여러 대의 부하보드로 구성돼 있어 서로 정해진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하면서 정보를 주고받는다. 장비가 여러 대의 기기와 접속했을 경우 어떤 모양새를 도플러지(Topology)라고 하는데, 기본적인 방법에는 Point to Point와 멀티 드롭 방식이 있다.




표 3. 프로토콜 제작 예











































































코드 명칭 설명 비고
31 초기 설정 홈 가드 초기화 대장보드가 부하보드에 보낼 때 사용
UAD가 00일 경우에는 부하보드 전부 해당
32 날짜 설정 RTC 년, 월, 일 설정
33 시간 설정 RTC 시, 분, 초 설정
34 알람 설정 RTC 알람 설정
35 모뎀 설정 모뎀 초기화 설정
36 Reset Reset
39 주소 보고 명령 기기의 DIP S/W값 요청
3A 기기 상태 보고 가드 현재 상태 보고 요청
3B 기기 제어 명령 부하보드의 기타 제어 요청
- - - -
51 가드 상태 통보 - -
59 기기 주소 통보 기기의 DIP S/W 값 -
5A 기기 상태 통보 가드 현재 상태 초음파, 온도, 방범 스위치
5B 기기 제어 통보 기기 제어 -
5F 기기 고장 통보 부하보드 고장 보드 고장 상태

















Fan Out



디지털 집적회로(IC)의 외부에 접속되는 부하에 대하여 회로 의 출력 드라이브 능력을 나타낸다. 팬 아웃이 크면 드라이브 능 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TTL IC에서는 보통 10∼20개 정도의 팬 아웃을 가져, 동일 선상에 접속되는 부하를 능력 이상으로 연 결하면 드라이브 능력이 떨어진다. 팬 아웃 수치로 칩 세기를 평 가할 수도 있다.





P_to_P 방식은 초등학생들이 자연시간에 실험해보았듯이 컵에 실을 꿰어 일대 일로 통신하는 것이다. 멀티 드롭은 P_to_P를 계속 확장한 것으로, 흡사 빨랫줄에 여러 개의 세탁물이 집게로 고정된 모양을 하고 있는 방법이다.
보드의 연결도 멀티 드롭으로 구성되어 있어 통신하고자 하는 정보를 UAD(Unit Address)와 함께 선로에 놓으면 일단 전부 통신 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대장 및 부하보드가 정보를 취득한 후 자신의 UAD가 아니면 버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대장보드가 UAD에 0X00을 넣어 선로에 놓으면 선로에 있는 모든 부하보드는 전부 자신의 UAD로 간주하고 제어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한다. 이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빠른 시간에 부하보드를 초기 설정이나 시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은 프로토콜에서 미처 설명하지 못한 통상적인 부분을 요약한 것이다. 프로토콜을 작성할 때 염두해 두어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전송에 이상이 있을 경우 4회 정도 등, 정해진 회수만큼 재 시도해본다.
.부하보드가 대장보드로부터 두 번 이상 똑같은 명령을 받고 다시 한 번 정상적으로 처리했다면 ACK를 보낸다.
.NACK 수신 시에는 바로 전 상태의 전문을 다시 보낸다.
.EX-OR 또는 SUM 에러가 발생하면 NACK를 보내고 NACK를 받은 보드는 에러가 발생했던 전문을 다시 보낸다.
.대장보드는 정기적으로(시간은 상태에 따라 변할 수 있음) POL을 행한다.
.POL에서 재 시도 횟수를 넘을 때까지 부하보드가 응답하지 않는다면, 대장보드는 선로의 이상 혹은 고장으로 판단한다.
.부하보드는 대장보드의 POL에 응답하는 것 외에 자체적으로 RSP 전문을 보낼 수 없다.
.부하보드끼리는 POL, SEL, RSP를 서로 행할 수 없다.



그림 9는 대장보드와 부하보드를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MAST’는 대장보드를, ‘SLAVE’Keeper 1~Keeper n은 부하보드를 가리킨다. 부하보드는 통신모드3으로 할 경우 8비트의 UAD 때문에 0x0∼0xFF로 한계가 있다. 하지만 통신모드1로 했을 경우에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즉 프로토콜을 잘 만들고 Fan Out 한계가 없다면 무한대의 부하보드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이다.
RX, TX는 대장보드를 기준으로 송?수신이 결정(사실 장비의 보통 기준은 PC이다)되기 때문에 대장보드가 송신이면 부하보드는 수신으로 맞춰야 한 다 . 즉 대장보드의 TX_H(TX_L)와 부하보드의 RX_H(RX_L)가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485 드라이버가 제 기능을 할 수 없다. 대장보드의 TxD 및 RxD 신호는 드라이브 RS-232를 통해 PC와 인터페이스 된다. 그러나 대장이든 부하든 같은 모듈을 사용하고 두 개의 프로그램이 같이 적재되어 있는데, 딥 스위치의 설정에 따라 대장보드와 부하보드가 결정된다.
출처 : 맥가이심(ecima)블로그

[펌] vmware vdisk 용량 변경하기

vmware-vdiskmanager.exe

- vmware 설치시 포함되어 있는 커맨드 라인 유틸리티로,

가상 하드디스크 생성
가상 하드디스크의 단편화 제거 (조각 모음..)
shrink(오그라들다?..이건 잘-_-...가상 하드를 압축한다는 이야기인지..)
가상 하드디스크 타입의 변경(고정 크기와 가변 크기)
가상 하드디스크 용량 증가 (maximum size 를 증가시킴. 감소는 않되는 듯-)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가상 하드디스크 Maximum Size 변경하기

  vmware-vdiskmanager -x <new-capacity> <disk-name>

<new-capacity> 의 단위는 Kb, Mb, Gb 를 사용하며, 입력한 capacity 가 가상 하드디스크의 Maximum Size 가 된다.

ex) vmware-vdiskmanager.exe -x 36Gb myDisk.vmdk



- 가상 하드디스크의 크기를 16Gb 로 변경하는 중.




이제 윈도 2003 서버에 비스타를 업그레이드 시켜 봅시다...;;;;


더 자세한 사항은 이곳으로..

[http://www.vmware.com/support/ws45/doc/disks_vdiskmanager_run_ws.html#1057509]
prev 1 2 3 4 5 next